몽골어의 문자 체계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변천을 겪어 왔다. 현재는 키릴 문자와 전통 몽골문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사용 양상이 다르다.
1. 문자 체계
1.1 키릴 몽골문자
현대 몽골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키릴 몽골문자는 러시아어의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되, 몽골어의 음운 체계를 반영하여 수정된 것이다. 총 35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일부는 몽골어 고유의 음소를 표현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키릴 몽골문자는 크게 모음 문자 12개와 자음 문자 23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모음 문자: а, э, и, о, ө, у, ү, ы, е, ё, ю, я
- 자음 문자: б, в, г, д, ж, з, й, к, л, м, н, п, р, с, т, ф, х, ц, ч, ш, щ, ъ, ь
키릴 몽골문자 이름 (모음)
키릴 몽골문자 모음을 부르는 방식은 러시아어의 키릴 문자 이름을 기초로 하지만, 실제 음가는 몽골어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표적인 모음 문자에 대한 이름과 간단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문자 | 이름 (읽는 법) | 비고/설명 |
---|---|---|
А а | “아” | 전형적인 저모음 계열 |
Э э | “에” | 단어에 따라 [e] 혹은 [ɛ]로도 발음 |
И и | “이” | 고모음 [i] |
О о | “오” | [ɔ] 또는 [o]로 실현 |
Ө ө | “외” / “오에” | 입술을 둥글려 내는 전설 모음 |
У у | “우” | 일반적인 후설 모음 [u] |
Ү ү | “우” (입술을 더 좁힘) | 독일어 ü 유사 [y] |
Ы ы | “의” / [ɯ] | ‘으’와 ‘이’ 사이에 해당하는 후설 모음 |
Е е | “예” (단어 처음), “에” (그 외) | 단어 첫음절에서 주로 [je] |
Ё ё | “요” / [jɔ] | 단어 첫음절에서 [jo]로 소리 나기도 함 |
Ю ю | “유” / [ju] | 중간에서 [u]로 약화 |
Я я | “야” / [ja] | 중간에서 [a]로 약화되기도 함 |
키릴 몽골문자 이름 (자음)
자음 문자 역시 러시아어 이름을 기반으로 하지만, 몽골어의 음운 환경에 맞추어 실제 발음과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다음 표는 각 자음 문자의 이름(읽는 법)과 간략한 비고를 나타낸 것이다.
문자 | 이름 (읽는 법) | 비고/설명 |
---|---|---|
Б б | “베” | 영어의 B에 해당 |
В в | “เว” / “베(외래어 표기)” | 영어의 V와 유사 |
Г г | “게” | 영어의 G와 유사 |
Д д | “데” | 영어의 D와 유사 |
Ж ж | “제” / “줴” | 영어 J(joy)에 유사 |
З з | “제(또는 ‘제-즈’ 정도)” | 영어 Z와 유사 |
Й й | “이” / “이 крат카야” | 반모음 y 역할 |
К к | “카” | 영어 K와 유사 |
Л л | “엘” | 영어 L와 유사 |
М м | “엠” | 영어 M과 유사 |
Н н | “엔” | 영어 N과 유사 |
П п | “페” | 영어 P와 유사 |
Р р | “에르” | 가볍게 굴리는 [r] |
С с | “에스” | 영어 S와 유사 |
Т т | “테” | 영어 T와 유사 |
Ф ф | “에프” | 차용어에서 주로 사용 |
Х х | “하” | 독일어 “Bach”의 ch와 유사 |
Ц ц | “체”(ts 소리) | ‘ㅊ’보다 약하게 [ts] |
Ч ч | “체” | 영어 ch(church) 유사 |
Ш ш | “샤” / “샤(h)” | 영어 sh(shoe)와 유사 |
Щ щ | “샤” / “쉬샤” (러시아어 shch) | 몽골어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 |
Ъ ъ | “твёрдый знак” | 경음 부호, 몽골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음 |
Ь ь | “мягкий знак” | 연음 부호, 외래어에 제한적으로 사용 |
1.2 전통 몽골문자
전통 몽골문자는 위구르 문자에서 발전한 것으로, 세로쓰기가 특징이다. 현재는 주로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문자는 단어의 어원을 반영하는 형태음소적 표기 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같은 발음이라도 어원에 따라 다르게 표기될 수 있다.
전통 몽골문자의 기본 자모
전통 몽골문자는 가로쓰기 대신 세로쓰기를 사용하며, 초성·중성·종성 위치에 따라 글자 모양이 달라진다. 여기서는 간단하게 대표 자모만 살펴본다.
자모 | 예시(기본 모양) | 설명 |
---|---|---|
ᠠ (a) | 어두·중간·어말 세 형태 존재 | 가장 기본적인 저모음 자모 |
ᠡ (e) | 위치마다 형태 달라짐 | ‘에’에 해당하는 모음 |
ᠢ (i) | 가느다란 형태로 쓰임 | 중립 모음 역할 |
ᠣ (o) | 위치별 필획 변화 | 오/우 계열 모음 중 하나 |
ᠤ (u) | 세로줄과 곡선 결합 | 후설 모음 [u] |
ᠪ (b) | 초성·중성·종성에서 모양이 다름 | 양순음 자음 |
ᠭ (g) | 획이 길게 이어짐 | 연구개음 자음 |
2. 발음 체계
2.1 모음 체계
몽골어의 모음 체계는 7개의 단모음과 7개의 장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 표는 단모음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담고 있다.
문자 | 발음 | 예시 음가 |
---|---|---|
а | [a] | 영어 ‘father’의 a와 유사 |
э | [e] | 영어 ‘bed’의 e와 유사 |
и | [i] | 영어 ‘meet’의 i와 유사 |
о | [ɔ] | 영어 ‘thought’의 o와 유사 |
ө | [ø] | 프랑스어 ‘peur’의 eu와 유사 |
у | [u] | 영어 ‘put’의 u와 유사 |
ү | [y] | 독일어 ‘ü’와 유사 |
장모음: 각 단모음을 길게 발음하여 장모음을 형성한다. 표기는 자주 중복된 형태(аа, ээ, ии, оо, өө, уу, үү)로 나타난다.
예시:
хар (har): “검은”
хаар (haar): “비”
ур (ur): “초대”
уур (uur): “분노”
추가 모음 문자 발음
위에서 소개한 7개의 기본 단모음 이외에도, 키릴 몽골어 표기에서 ы, е, ё, ю, я 등은 위치나 환경에 따라 다른 음가를 보이기도 한다. 자주 헷갈리는 다섯 개 문자를 다음 표로 정리하였다.
문자 | 대표 음가 | 설명 |
---|---|---|
ы | [ɯ] | ‘으’와 ‘이’ 사이. 후설 모음 |
е | [je] / [e] | 단어 처음에는 ‘예’, 그 외에는 ‘에’ |
ё | [jɔ] / [jo] | ‘요’ 소리와 유사 |
ю | [ju] | ‘유’. 중간에서 [u]로 약화될 수 있음 |
я | [ja] | ‘야’. 중간에서 [a]로 약화될 수 있음 |
2.2 모음조화
몽골어의 가장 중요한 음운 규칙 중 하나는 모음조화이다. 이는 한 단어 안에서 모음들이 특정한 규칙에 따라 어울려야 함을 의미한다.
모음조화의 특징:
몽골어 단어는 양성 모음(а, о, у) 또는 음성 모음(э, ө, ү)만을 포함하거나, 중립 모음(и)을 포함할 수 있다. 차용어와 외래어의 경우 모음조화를 따르지 않을 때도 있다.
기본 규칙:
- 남성 모음(а, о, у)과 여성 모음(э, ө, ү)은 한 단어 안에서 섞이지 않는다.
- 중성 모음(и)은 남성 모음이나 여성 모음과 모두 결합할 수 있다.
예시:
ах (ah) “형” → аха-с (ahas) “형들” (남성 모음)
эх (eh) “어머니” → эхэ-с (ehes) “어머니들” (여성 모음)
ном (nom) “책” → номы-н (nomyn) “책의” (남성 모음)
2.3 자음 체계
몽골어의 자음은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양순음: б [b], п [p], м [m]
- 치조음: д [d], т [t], н [n], л [l], с [s], з [z]
- 구개음: ж [ʤ], ч [ʧ], й [j]
- 연구개음: г [g], к [k], х [x]
- 성문음: х [h]
자음의 특징:
-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 몽골어 자음은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이 분명하다.
- 어말 무성음화: 단어 끝에 오는 유성음이 무성음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
- 자음 동화: 자음 연쇄에서 발음이 유사해지는 동화 현상이 나타난다.
예시:
ав (av) “받다” → авч (avch) [apʧ] “받아서”
үг (üg) “말” → үгс (ügs) [yks] “말들”
자음 문자별 발음
키릴 몽골어 자음 문자를 실제 발음에 맞추어 정리하면 대체로 아래 표와 같다.
문자 | 발음 기호 | 설명 |
---|---|---|
б | [b] | 영어 b와 유사 |
в | [v] | 영어 v와 유사 |
г | [g] | 단어 끝에서 [k]로 약화되기도 함 |
д | [d] | 영어 d와 유사 |
ж | [ʤ] | 영어 j(joy)와 유사 |
з | [z] | 영어 z와 유사 |
й | [j] | 반모음(‘y’). 이중모음 결합 등에 사용 |
к | [k] | 영어 k와 유사 |
л | [l] | 위치에 따라 [ɮ]로 소리 나기도 함 |
м | [m] | 영어 m과 유사 |
н | [n] | 영어 n과 유사 |
п | [p] | 영어 p와 유사 |
р | [r] / [ɾ] | 가볍게 굴리는 소리 |
с | [s] | 영어 s와 유사 |
т | [t] | 영어 t와 유사 |
ф | [f] | 차용어에서 주로 사용 |
х | [x] / [h] | 독일어 “Bach”의 ch와 유사한 소리 |
ц | [ts] | ‘ㅊ’보다 약하게 [ts] |
ч | [ʧ] | 영어 ch(church)와 유사 |
ш | [ʃ] | 영어 sh(shoe)와 유사 |
щ | [ɕɕ] / [ʃtʃ] | 러시아어 ‘shch’, 몽골어에서는 제한적 |
ъ | (твёрдый знак) | 경음 부호, 몽골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음 |
ь | (мягкий знак) | 연음 부호, 주로 외래어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
2.4 기타 발음 특징
몽골어 발음을 익힐 때 유의해야 할 몇 가지 특징이 있다.
- 강세: 일반적으로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오는 경향이 있다.
- 장단 모음의 구별: 몽골어에서는 장모음이 독립적인 의미 차이를 만든다. 예: уур(uur) vs. ур(ur).
- 음절 구조: 자음+모음(CV), 자음+모음+자음(CVC) 등이 기본이지만, 합성어나 차용어에서는 더 복잡해질 수 있다.
- 모음 약화: 빠른 말이나 구어체에서는 일부 모음이 약화되어 [ə]에 가까운 소리로 실현되기도 한다.
예시:
한국어 화자가 “ы [ɯ]” 발음을 익히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으’보다 더 깊은 후설 모음이므로, 거울을 보며 입 모양과 혀 위치를 조절하는 연습이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