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차원 벡터공간에서 정의되는 노름은 모두 서로 동치이다. 그러나 무한차원 벡터공간 위에서는 동치가 아닌 서로 다른 노름이 존재할 수 있다. 더욱이, 유한차원 노름벡터공간에서 살펴보았던 정리가 무한차원 노름벡터공간으로 자연스럽게 확장되지 않는다.
LY4I

LY4I
I may dance to the rhythm of my own madness, but never shall I trip into the realm of the senseless. Contact me by email: tomie_at_ly4i.com.
-
-
노름(norm)은 실수계의 절댓값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노름이 주어진 공간에서는 원소의 거리를 잴 수 있다. 벡터공간에 노름이 주어진 경우 그 벡터공간을 노름벡터공간(normed vector space) 또는 노름선형공간(normed linear space)이라고 부르며, 노름이 주어진 공간이 벡터공간이 명확할 때는 간단히 노름공간이라고 부른다. 내적을 사용하여 노름을 정의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내적공간은 노름공간이다.
-
2차원 유클리드 공간과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시각화할 때, 우리는 각 벡터의 길이를 생각할 수 있다. 벡터의 ‘길이’를 생각함으로써 벡터공간에서 극한을 다룰 수 있다. 차원이 무한인 경우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벡터공간에서도 벡터의 길이와 같은 개념을 도입하면 더욱 다양한 벡터의 성질을 기하학적으로 추론할 수 있고, 그와 같은 벡터공간에서 극한을 다룰 수 …
-
-
-
-
마르코프 체인의 기본 개념 마르코프 체인(Markov Chain)은 확률론적 관점에서 “현재 상태가 주어졌을 때, 미래 상태가 과거의 이력과 무관하게 현재 상태에만 의존한다”는 ‘마르코프성’을 가정하는 확률적 과정이다. 즉, 상태가 불연속적인 시점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해가며, 각 시점의 상태가 단 하나의 이전 상태에만 의존한다는 기억 없음(memoryless) 성질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한 상태공간 \(\{1,\,2,\,\dots,\,n\}\)이 있고, …
-
LU-분해의 개념 LU-분해(LU decomposition)는 행렬 분해 기법 중 하나로, 정사각행렬 \(A\)를 두 행렬 \(L\)과 \(U\)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L\)은 하삼각(lower triangular) 행렬이고, \(U\)는 상삼각(upper triangular) 행렬이다. 예를 들어, 임의의 \(n\times n\) 행렬 \(A\)에 대하여 \[ A = L\,U \] 와 같이 분해할 수 있다면, 이를 LU-분해라고 부른다. 정의 1. …
-
-
선형연산자로서의 미분연산 미분연산(differentiation)은 미분방정식을 해석하는 중요한 도구이며, 동시에 선형대수학의 관점에서 선형연산자로 간주될 수 있다. 즉, 적절한 함수공간을 벡터공간으로 보았을 때, 미분은 두 가지 중요한 성질을 만족한다. 함수의 합에 대한 선형성 (\(D(f+g) = D(f) + D(g)\)), 상수배에 대한 선형성 (\(D(cf) = c\,D(f)\)). 이런 관점에서, 미분연산자 \(D\)는 “입력으로 함수를 받고, 그 도함수를 …
-
-
최소제곱해의 존재와 유일성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는 통계학과 공학 등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추정 기법 중 하나로, 주어진 데이터 \(\{(x_i, y_i)\}\)가 “선형” 형태의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하고, 그 오차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선형 모델 \(\displaystyle y \approx \beta_1\,x + \beta_0\)를 찾는 방법이다. 선형회귀나 공학 분야에서 자주 다루는 과제 중 하나는, 연립일차방정식 \(A\mathbf{x} = \mathbf{b}\)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