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어의 문자 체계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변천을 겪어왔다. 현재는 키릴 문자와 전통 몽골문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사용 양상이 다르다.
1. 문자 체계
1.1 키릴 몽골문자
현대 몽골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키릴 몽골문자는 러시아어의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되, 몽골어의 음운 체계를 반영하여 수정된 것이다. 총 35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일부는 몽골어 고유의 음소를 표현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키릴 몽골문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모음 문자: а, э, и, о, ө, у, ү, ы, е, ё, ю, я
- 자음 문자: б, в, г, д, ж, з, й, к, л, м, н, п, р, с, т, ф, х, ц, ч, ш, щ, ъ, ь
1.2 전통 몽골문자
전통 몽골문자는 위구르 문자에서 발전한 것으로, 세로쓰기가 특징이다. 현재는 주로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서 사용된다. 이 문자는 단어의 어원을 반영하는 형태음소적 표기 체계를 가지고 있어, 같은 발음이라도 어원에 따라 다르게 표기될 수 있다.
2. 발음 체계
2.1 모음 체계
몽골어의 모음 체계는 7개의 단모음과 7개의 장모음으로 구성된다.
단모음:
- а [a]: 영어 ‘father’의 a와 유사
- э [e]: 영어 ‘bed’의 e와 유사
- и [i]: 영어 ‘meet’의 i와 유사
- о [ɔ]: 영어 ‘thought’의 o와 유사
- ө [ø]: 프랑스어 ‘peur’의 eu와 유사
- у [u]: 영어 ‘put’의 u와 유사
- ү [y]: 독일어 ‘ü’와 유사
장모음: 각 단모음에 반복 표기를 추가하여 장모음을 나타낸다:
- аа, ээ, ии, оо, өө, уу, үү
예시:
хар (har): “검은”
хаар (haar): “비”
ур (ur): “초대”
уур (uur): “분노”
2.2 모음조화
몽골어의 가장 중요한 음운 규칙 중 하나는 모음조화이다. 이는 한 단어 내에서 모음들이 특정한 규칙에 따라 어울려야 한다는 것이다.
모음조화의 특징:
몽골어 단어는 양성 모음(а, о, у) 또는 음성 모음(э, ө, ү)만을 포함하거나, 중립 모음(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외적으로 차용어와 외래어는 모음조화를 따르지 않을 수 있다.
기본 규칙:
- 남성 모음(а, о, у)과 여성 모음(э, ө, ү)은 한 단어 안에서 섞이지 않는다.
- 중성 모음(и)은 남성 모음이나 여성 모음과 모두 결합할 수 있다.
예시:
ах (ah) “형” → аха-с (ahas) “형들” (남성 모음)
эх (eh) “어머니” → эхэ-с (ehes) “어머니들” (여성 모음)
ном (nom) “책” → номы-н (nomyn) “책의” (남성 모음)
2.3 자음 체계
몽골어의 자음은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양순음: б [b], п [p], м [m]
- 치조음: д [d], т [t], н [n], л [l], с [s], з [z]
- 구개음: ж [ʤ], ч [ʧ], й [j]
- 연구개음: г [g], к [k], х [x]
- 성문음: х [h]
자음의 특징:
-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 몽골어 자음은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을 보인다.
- 어말 무성음화: 단어 끝에 오는 유성음이 무성음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
- 자음 동화: 자음 연쇄에서 발음이 유사해지는 동화 현상이 나타난다.
예시:
ав (av) “받다” → авч (avch) [apʧ] “받아서”
үг (üg) “말” → үгс (ügs) [yks] “말들”